백곰 (탄도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곰은 1970년대 대한민국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이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극비리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미국 M1M-14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 외형을 참고하고, 프랑스로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개발되었으며, 핵탄두 개발 의혹도 있었다. 1978년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나, 미국의 압력과 미사일 지침에 따라 개발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탄도 미사일 - 현무-2
현무-2는 러시아 SS-21 미사일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리즈로,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을 통해 사거리와 탄두 중량 제한 없이 개발 및 운용이 가능해졌으며,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파생형을 가진 대한민국 국군의 핵심 억지 전력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탄도 미사일 - 현무-5
현무-5는 한미 미사일 지침 폐지 후 개발된 최대 9톤의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는 사거리 3,000~5,500km의 2단 고체로켓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 대한민국의 지대지 미사일 - 현무-2
현무-2는 러시아 SS-21 미사일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리즈로,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을 통해 사거리와 탄두 중량 제한 없이 개발 및 운용이 가능해졌으며,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파생형을 가진 대한민국 국군의 핵심 억지 전력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지대지 미사일 - 현무 (미사일)
현무 미사일은 대한민국 육군이 사용하는 국산 지대지 미사일 시리즈로,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통해 대한민국의 국방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백곰 (탄도탄) | |
---|---|
백곰 미사일 | |
![]() | |
종류 | SRBM |
제원 | |
개발 | ADD |
개발 년도 | 1974년-1978년 |
파생형 | 현무-1 |
지름 | 0.9 m |
폭약 중량 | 500kg |
추진제 | 2단 고체연료 |
최고 속도 | 마하 3 |
항법 및 유도 장치 | 관성항법 |
사거리 | 180 km |
발사 플랫폼 | 트럭 |
2. 개발 배경
북한은 1969년에서 1970년 사이 소련으로부터 사거리 70km FROG-7 미사일을 도입했다.[1] 곧이어 1971년 3월 주한미군 7사단 병력 2만 명이 한반도에서 철수하면서 안보위기로 이어졌다.[1]
1971년 12월 27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창설 멤버이자 로켓연구실 실장이던 구상회 박사는 청와대 오원철 경제수석으로부터 청와대로 들어오라는 전갈을 받았다.[1] 청와대에서 오원철 경제수석은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메모를 전달했는데, 메모지에는 빨간 잉크로 '''‘極秘’(극비)'''라고 씌어 있었다.[1] 메모 내용은 "국과연은 국방부의 명령을 받는 즉시 지대지 유도탄 개발계획을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하고 공군은 유도탄 개발 이후의 작전운영계획을 수립, 대통령께 보고할 것"이었다.[1]
2. 1. 북한의 미사일 도입과 주한미군 철수
북한은 1969년에서 1970년 사이 소련으로부터 사거리 70km FROG-7 미사일을 도입했다.[1] 곧이어 1971년 3월 주한미군 7사단 병력 2만 명이 한반도에서 철수하면서 안보위기로 이어졌다.[1]1971년 12월 27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창설 멤버이자 로켓연구실 실장이던 구상회 박사는 청와대 오원철 경제수석으로부터 청와대로 들어오라는 전갈을 받았다.[1] 청와대에서 오원철 경제수석은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메모를 전달했는데, 메모지에는 빨간 잉크로 '''‘極秘’(극비)'''라고 씌어 있었다.[1] 메모 내용은 "국과연은 국방부의 명령을 받는 즉시 지대지 유도탄 개발계획을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하고 공군은 유도탄 개발 이후의 작전운영계획을 수립, 대통령께 보고할 것"이었다.[1]
2. 2.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와 극비 개발
1969년에서 1970년 사이 북한이 소련으로부터 사거리 70km FROG-7 미사일을 도입했다.[1] 1971년 3월 주한미군 7사단 병력 2만 명이 한반도에서 철수하면서 안보위기가 고조되었다.[1]1971년 12월 27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창설 멤버이자 로켓연구실 실장이던 구상회 박사는 청와대 오원철 경제수석으로부터 청와대로 들어오라는 연락을 받았다.[1] 청와대에서 오원철 경제수석은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메모를 전달했는데, 메모지에는 빨간 잉크로 '''‘極秘’(극비)'''라고 적혀 있었다.[1] 메모에는 "국과연은 국방부의 명령을 받는 즉시 지대지 유도탄 개발계획을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하고 공군은 유도탄 개발 이후의 작전운영계획을 수립, 대통령께 보고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
3. 개발 과정
한국은 풍동 시험시설 등이 부족하여 미국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외형을 참고하였다.[2] 당시 불황을 겪던 미국 맥도널 더글러스는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사거리 개량을 한국에 제안했고, 이 과정에서 한국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했다. 또한, 미 공군에 고체연료를 납품하던 LPC사가 적자로 폐쇄한 유도탄 추진제 공장 시설을 260만 달러에 한국에 판매하면서, 한국은 원천기술과 장비를 확보할 수 있었다.[2]
3. 1. 기술 확보의 어려움
3. 2. 해외 기술 도입
한국은 자체적인 풍동 시험시설 등이 부족하여, 미국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외형을 모방했다.[2] 당시 불황을 겪던 미국 맥도널 더글러스는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의 사거리 연장 제안을 통해 한국에 소프트웨어 기술을 이전했다.미 공군에 고체연료를 납품하던 LPC사가 경영난으로 폐쇄한 유도탄 추진제 공장 시설을 한국이 260만 달러에 인수하면서, 관련 원천 기술과 장비 일체를 국내로 들여왔다.
핵심 기술은 프랑스에서 도입했다. 백곰에 탑재할 핵탄두 개발을 위해 프랑스 핵무기 연구소 CEA CESTA에 한국 기술자들을 파견했다. 당시 프랑스는 자국 최초의 지대지 핵미사일인 S2 미사일을 실전배치한 상태였으며, 이 미사일에는 플루토늄 내폭형 핵분열탄인 무게 700 kg, 핵출력 130 kt의 MR31 핵탄두가 탑재되었다.[2]
3. 3. 핵탄두 개발 의혹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은 W31 핵탄두를 탑재했는데, 20kt 버전은 무게 408-428kg, 직경 76cm, 길이 100cm였다. 1970년대 당시 사거리 200km 지대지 탄도 미사일은 6개국만이 개발에 성공했으며, 핵탄두를 장착했다. 2000년대와는 달리 고정밀 스마트 재래식 폭격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폭발력이 높은 핵탄두를 사용했다. W31 핵탄두는 핵출력 2, 20, 40kt 세 가지 버전의 증폭형 핵분열탄이며, 1958년부터 1989년까지 2,550발이 생산되었다.4. 시험 발사 성공과 그 이후
1978년 9월 26일, 충남 안흥종합시험장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참관하는 가운데 백곰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서울에서 평양까지의 직선거리가 180km인데, 백곰 미사일의 사거리가 180km였다. 이는 세계 7번째 지대지 탄도 미사일 개발 성공이었다.[4] 1978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백곰 미사일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5]
1966년 미국에서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지대지 겸용 미사일을 수입했다. 1971년 12월 27일,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까지 사거리 200 km 단거리 미사일, 1976년까지 사거리 500 km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항공공업 육성계획'으로 위장되었다. 1974년 5월 14일, 박정희 대통령은 '항공공업 육성계획'을 율곡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을 재가했다. 1974년 9월에는 대전기계창으로 위장한 유도탄연구소가 착공되었고, 1975년 1월에는 안흥측후소로 문패를 단 비행시험장이 착공되었다.[3]
1979년 9월,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이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하는 서한을 보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동의했다. 이를 미사일 지침이라고 부르며, 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이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
1966년 미국에서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지대지 겸용 미사일을 수입했다. 이후 1969년 7월 25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괌에서 닉슨 독트린을 발표, 약소국들의 자체 국방 책임을 강조했다. 1970년 7월, 최규하 외무장관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에서 열린 월남전 참전국 회의에서 미국으로부터 "주한미군 2만명 철수"를 통보받았다. 1971년 4월 2일, 닉슨 독트린에 따라 주한미군 7사단이 동두천에서 일방적으로 철수했다.
1971년 12월 27일,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까지 사거리 200 km 단거리 미사일, 1976년까지 사거리 500 km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지시했다. 이는 '항공공업 육성계획'으로 위장되었으며, 당시 사거리 200km 탄도 미사일은 기술적 한계로 핵탄두 장착을 전제한 것이었다. 1974년 5월 14일, 박정희 대통령은 '항공공업 육성계획'을 율곡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을 재가하고, MGM-31A 퍼싱 I을 모방한 사거리 500km 지대지 유도탄 개발을 1978년까지 완료하도록 지시했다.
1974년 10월 19일, 한국-프랑스 간 원자력협력협정 체결로 백곰 미사일용 핵탄두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스라엘 역시 1950년대 프랑스의 핵기술 이전을 통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박정희 정부 당시 한국은 프랑스 핵무기 연구소에서 고폭실험을 완료했다.
1976년 1월, 미국 국무부는 한국의 핵개발 중지를 요구했고, 같은 해 1월 26일, 미국의 압력으로 한국은 프랑스와의 플루토늄 재처리 공장 도입 계약을 파기했다. 1979년 9월,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은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동의했다. 이 동의 서한은 미사일 지침으로 불리며, 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와 제5공화국 출범 이후, 백곰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4]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은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하는 서한을 보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은 이에 서면으로 동의했다.[4] 이 동의 서한은 미사일 지침으로 불리며, 사거리 180km, 탄두 중량 500kg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
4. 1. 시험 발사 성공
1978년 9월 26일, 충남 안흥종합시험장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참관하는 가운데 백곰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서울에서 평양까지의 직선거리가 180km인데, 백곰 미사일의 사거리가 180km였다. 이는 세계 7번째 지대지 탄도 미사일 개발 성공이었다.[4] 1978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백곰 미사일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5]1966년 미국에서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지대지 겸용 미사일을 수입했다. 1971년 12월 27일,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까지 사거리 200 km 단거리 미사일, 1976년까지 사거리 500 km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항공공업 육성계획'으로 위장되었다. 1974년 5월 14일, 박정희 대통령은 '항공공업 육성계획'을 율곡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을 재가했다. 1974년 9월에는 대전기계창으로 위장한 유도탄연구소가 착공되었고, 1975년 1월에는 안흥측후소로 문패를 단 비행시험장이 착공되었다.[3]
1979년 9월,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이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하는 서한을 보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동의했다. 이를 미사일 지침이라고 부르며, 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이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
4. 2. 미국의 압력과 개발 중단
1966년 미국에서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지대지 겸용 미사일을 수입했다. 이후 1969년 7월 25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괌에서 닉슨 독트린을 발표, 약소국들의 자체 국방 책임을 강조했다. 1970년 7월, 최규하 외무장관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에서 열린 월남전 참전국 회의에서 미국으로부터 "주한미군 2만명 철수"를 통보받았다. 1971년 4월 2일, 닉슨 독트린에 따라 주한미군 7사단이 동두천에서 일방적으로 철수했다.1971년 12월 27일,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까지 사거리 200 km 단거리 미사일, 1976년까지 사거리 500 km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지시했다. 이는 '항공공업 육성계획'으로 위장되었으며, 당시 사거리 200km 탄도 미사일은 기술적 한계로 핵탄두 장착을 전제한 것이었다. 1974년 5월 14일, 박정희 대통령은 '항공공업 육성계획'을 율곡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을 재가하고, MGM-31A 퍼싱 I을 모방한 사거리 500km 지대지 유도탄 개발을 1978년까지 완료하도록 지시했다.
1974년 10월 19일, 한국-프랑스 간 원자력협력협정 체결로 백곰 미사일용 핵탄두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스라엘 역시 1950년대 프랑스의 핵기술 이전을 통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박정희 정부 당시 한국은 프랑스 핵무기 연구소에서 고폭실험을 완료했다.
1976년 1월, 미국 국무부는 한국의 핵개발 중지를 요구했고, 같은 해 1월 26일, 미국의 압력으로 한국은 프랑스와의 플루토늄 재처리 공장 도입 계약을 파기했다. 1979년 9월,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은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동의했다. 이 동의 서한은 미사일 지침으로 불리며, 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
4. 3. 제5공화국과 개발 중단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와 제5공화국 출범 이후, 백곰 미사일 개발팀은 전면 해체되었다.[4] 존 위컴 주한미군 사령관은 탄도 미사일 개발 중단을 권고하는 서한을 보냈고, 노재현 국방부 장관은 이에 서면으로 동의했다.[4] 이 동의 서한은 미사일 지침으로 불리며, 사거리 180km, 탄두 중량 500kg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5. 정치적, 사회적 의의
5.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5. 2. 국민의힘에 대한 비판적 관점
6.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한국의 무기 이야기] <2> 자주국방의 신호탄 ‘백곰’ 유도탄 (上)"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0-09-28
[2]
뉴스
지대지 유도탄 ‘백곰’ 대한민국 100대 기술에 선정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10-12-16
[3]
뉴스
"[한국의 무기 이야기] <2> 자주국방의 신호탄 백곰 유도탄 (中)"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0-10-05
[4]
뉴스
국산유도탄의 발사성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8-09-27
[5]
뉴스
국군의날 기념식성대 건군30돌┈당당한 위용과시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78-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